반응형
1. 라인(Line)형 안전관리 조직의 특징
- 안전에 관한 기술의 축적이 용이
- 조직원 전원을 자율적으로 안전활동에 참여 가능
- 권한 다툼이나 조정 때문에 통제수속이 복잡해지며, 시간과 노력이 소모됨.
- 소규모사업장(100명 이하)에 적용 가능
- 생산과 안전을 동시에 지시하는 형태
- 명령 및 지시가 신속 정확함.
- 안전정보가 불충분하며 라인에 과도한 책임이 부여됨
2.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유해위험 방지를 위한 방호조치가 필요한 기계 기구
- 예초기
- 지게차
- 금속절단기
3. 안전보건표지의 색체와 사용사례
- 노란색 - 화학물질 취급장소에서의 유해위험 경고 이외의 위험경고
- 파란색 - 특정 행위의 지시 및 사실의 고지
- 빨간색 - 화학물질 취급장소에서의 유해 위험 경고
- 녹색 - 비상구나 피난소, 사람 또는 차량의 통행 표지
4. 재해원인 중 간접원인
- 기술적 원인
- 교육적 원인
- 관리적 원인
5. 재해원인 중 직접원인
- 인적원인(불안정안 행동)
- 물적원인(불안정한 상태)
6. 재해원인 분석방법 - 통계적 원인분석
- 파레토도 : 재해원인을 유형분석 통계적으로 분류항목별로 큰 순서대로 도표화
- 특성요인도 : 재해와 그 요인의 관계를 어골상으로 세분화
- 크로스도 : 2개 항목이상 분석시 유리 각각 요인의 교집합을 구함
- 관리도 : 시간경과등 발생요인의 대략적 추이 판단에 유리
7. 헤드십(headship)
- 권한의 근거는 공식적이다.
- 상사와 부하와의 사회적 간격은 넓다.
- 상사와 부하와의 관계는 지배적이다.
- 일방성, 강제성을 그 본질로 함.
8. 재해예방의 4원칙
- 예방 가능의 원칙
- 손실 우연의 원칙
- 대책 선정의 원칙
- 원인 계기의 원칙
9. 재해설 3가지
- 기회설(상황설) : 재해가 일어날 수 있는 상황만 주어지면 재해가 유발된다는 설
- 암시설(습관설) : 한번 재해를 당한 사람은 겁쟁이가 되어 신경과민으로 또 재해를 유발한다는 설
- 경향설(성향설) : 근로자 중 재해가 빈발하는 소질적 결함자가 있다는 설
10. 무재해 운동을 추진하기 위한 조직의 세 기둥
- 최고경영자의 경영자세
- 소집단 자주활동의 활성화
- 라인관리자의 의한 안전보건의 추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