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024년 산업안전기사 필기 총정리 - 1. 산업재해 예방 및 안전보건교육(1)

by 안전해달 2024. 1. 2.
반응형

[1과목]  산업재해 예방 및 안전보건교육

제1장  산업재해 예방계획 수립

1-1 안전관리

 

(1) 안전과 위험의 개념

 

 1. 용어의 정의

  • 산업재해 : 근로자라는 사람이 업무로 인하여 사망 또는 부상하거나 질병에 걸리는 것
  • 근로자 : 임금을 목적으로 사업장에 근로를 제공하는 자
  • 사업주 : 근로자를 고용하여 사업을 하는 자
  • 근로자 대표 :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 또는 근로자의 과반수를 대표하는 자
  • 작업환경 측정 : 작업환경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료를 채취, 분석 평가하는 것
  • 안전보건진단 :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그 개선 대책을 목적으로 조사, 평가하는 것
  • 중대재해 : 사망자가 1명 이상 발생한 재해 / 3개월 이상의 요양이 필요한 부상자가 동시에 2명 이상 발생한 재해 / 부상자 또는 직업성 질병자가 동시에 10명 이상 발생한 재해
  • 사건 : 사회적으로 문제를 일으키거나 주목을 받을 만한 뜻밖의 일(인적, 물적손실)
  • 사고 : 불안전한 행동과 상태가 원인이 되어 가져오는 재산상의 손실(고의성 없음)

 

(2) 안전보건관리 제이론

 

1. 재해발생의 메커니즘

  • 하인리히의 사고발생 5단계 : 사회적, 환경적 요인 → 개인의 성격 → 불안전한 행동 및 불안전한 상태 → 사고 → 재해
  • 버드의 도미노 이론 : 제어의 부족(관리) → 기본원인(기원) → 직접원인(징후) → 사고(접촉) → 상해(손실)
  • 아담스의 사고연쇄반응 이론 : 관리구조 → 작전적 에러 → 전술적 에러 → 사고 → 상해(손실)
  • 안전관리 cycle : 실태 파악 → 결함 발견 → 대책 결정 → 대책 실시

2. 산업재해 발생 모델 : 불안전한 행동(인적 원인) 88%, 불안전한 상태(물적 원인) 10%

 

3. 불안전한 행동의 원인 : 생리적 원인, 심리적 원인, 교육적 원인, 환경적 원인

 

4. 재해의 간접원인 : 기술적 원인, 교육적 원인, 정신적 원인, 신체적 원인, 관리적 원인

 

5. 재해예방의 4원칙 : 손실우연의 원칙, 원인계기의 원칙, 예방가능의 원칙, 대책선정의 원칙

 

6. 재해의 기본원인과 대책을 위한 기법

  • 기본원인 4M : 인간(man), 기계(machine), 작업매체(media), 관리(management)
  • 하베이의 3E : 관리적(Enforcement), 기술적(Engineering), 교육적(Education)

7. 사고예방 대책의 기본원리 : 안전관리조직→사실의 발견→원인 분석, 평가 → 시정책의 선정 → 시정책의 적용(3E 적용)

 

 8. 위험예지훈련 4round : 현상파악 → 본질추구 → 대책수립 → 목표설정

 

(3) 생산성과 경제적 안전도

1. 안전관리가 생산성과 경제적 측면에서 오는 효과

  • 근로자의 사기 진작
  • 사회적 신뢰성 유지 및 확보
  • 생산성 향상 및 이윤 증대
  • 비용 절감(손실 감소)

(4) 재해발생 구성비율

  • 하인리히 재해 법칙 :  중상(사망) : 경상해 : 무상해 : = 1 : 29 : 300
  • ILO 재해구성비율 : 중상 : 경상 : 무상해 = 1 : 20 : 200
  • 버드 이론(법칙) : 중상(폐질) : 경상 : 무상해(물적손실 발생) : 무상해, 무손실 = 1: 10 : 30 : 600